[뉴스특보] 감성주점, 노래방도 '고위험'…"방역수칙 의무화"<br /><br /><br />이태원 클럽에서 시작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노래방과 주점·음식점 등을 연결고리로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급기야 5차 감염으로 추정되는 사례까지 나왔고, 부천 돌잔치 뷔페에서 감염된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설대우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계속 확진자가 늘고 있는 부천의 돌잔치 사례부터 짚겠습니다. 1살 아기와 부모에 이어 외조부모, 하객까지 잇따라 확진을 받았는데요. 우려스러운 건 거주지가 서울·성남·고양 등 수도권 곳곳에 퍼져있다는 겁니다. 수도권 확산 가능성이 우려되는데요?<br /><br /> 돌잔치발 집단감염 확산에 돌잔치 자체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. 예년에 비해 줄었습니다만, 이번 주말에도 전국 곳곳에서 돌잔치를 하는 분들이 계실텐데요. 돌잔치를 해도 될까요?<br /><br /> 이태원 클럽발 n차 감염이 과연 몇 차까지 이어질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 인천 고3 학생 아버지의 직장 동료까지 확진을 받았는데, 이 경우 5차 감염 사례로 추정되고 있거든요. 교수님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차수가 높아지면 감염력이 떨어지지 않을까란 생각도 드는데,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의 경우엔 전혀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. 이를 두고 방역당국은 아시아형이기보단 미국·유럽형 바이러스라고 해석했는데,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일부에선 이태원 클럽발 바이러스가 아시아형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욱 강하다는 주장도 나오는데요. 그렇다면 혹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미치는 영향도 있지 않을까 싶거든요. 이 점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또 일각에선 이태원 클럽발 바이러스가 미국·유럽형 바이러스라는 점에서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유행하고 있는 어린이 괴질과 관련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이 점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방역당국은 노래방과 주점 등 9개 시설을 고위험 시설로 분류해 고객 명단 작성과 정기적 소독 등을 필수적 방역 수칙으로 정했는데요, 대책이 충분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서울시는 아예 모든 동전노래방에 대한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렸는데요, 일반 노래방은 제외됐습니다. 폐쇄적이라는 점에서 일반 노래방에서의 감염확산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데, 이 점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등교수업에 대한 우려도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. 앞서 등교한 고3 학생들이 SNS를 통해 등교 후기를 속속 전하고 있는데, 사실상 화장실 이용과 쉬는시간 거리두기는 불가능에 가깝단 지적이 나옵니다. 이런 상황에 다음 주 있을 순차 등교 괜찮을지 우려스러운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가장 걱정인 건 무증상 상태에서의 확진이 잇따르고 있다는 겁니다. 대구 고3 학생의 경우도 무증상이었지만 기숙사 입소 과정서 실시한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거였거든요. 이런 점에서 볼 때 등교한 학생들 중에도 무증상 감염자가 있을 가능성 배제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?<br /><br /> 생활방역이 중요해진 상황인데 올여름은 폭염 기간이 작년에 비해 2배나 길다고 합니다. 때문에 마스크 사용 지침을 달리해야 하는 것 아니냔 지적도 나오는데요. 어떤 대안이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무증상 전파가 계속되는 이상 감염 확산-감소-확산-감소와 같은 추이는 계속될 것이란 해석이 많습니다. 때문에 백신 개발이 과연 언제 될지 절실함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. 현재 백신 개발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습니까?<br /><br />설대우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와 함께 얘기 나눠봤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